Surprise Me!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올해 수출 하락 전망…"탈중국 기조 속 기회 잡아야"

2023-07-05 2 Dailymotion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올해 수출 하락 전망…"탈중국 기조 속 기회 잡아야"<br /><br /><br />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우리나라의 6월 무역수지가 16개월 만에 흑자로 돌아선 가운데 정부가 올해 수출이 지난해보다 6.6%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0.2%P 내려 잡았는데 어떻게 진단하십니까?<br /><br /> 수출 부진을 해소하기 위해 교역구조 재편과 기술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. 전 세계적인 공급망 탈중국 기조 속에서 시장기회를 적극 포착해야 한다는 건데, 무슨 이야긴가요?<br /><br /> 기업에도 새로운 시장 기회가 절실한 상황입니다. 2016년 이후 국내 대기업의 중국 법인 매출이 6년 새 13%가량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인데요. 배터리와 반도체를 제외하면 매출 감소 규모는 약 40%로 늘어난다는데 국내 기업들의 중국 사업이 후퇴한 가장 큰 요인은 무엇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국내 자동차·전자 대표기업의 중국 생산법인 매출이 크게 줄어든 데 반해 배터리와 반도체 기업들은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. 특히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, SK온 등 K-배터리 실적이 화려했다는데 매출이 얼마나 늘어났나요?<br /><br /> 최근 중국 기업과 금융시장에서 위안화 가치의 추가 하락을 염두에 둔 '달러 재테크'가 유행하고 있다는데요. 중국 국유 은행들이 일제히 달러 예금 금리를 큰 폭으로 인하했습니다. 사재기 완화를 위한 대책 같은데 효과는 어떨까요? 투자 자체도 주의해야 한다는 경고도 나왔는데 어떤 부분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정부가 어제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했습니다. 특히 주거안정 대책에 대한 관심이 높았는데 1년간 보증금 반환목적 대출에 한해 규제를 완화하기로 했습니다. 역전세난과 전세 사기 등 임대차 시장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조치인거죠?<br /><br /> 정부는 가계부채와 금융시장의 '약한 고리'로 꼽히는 부동산 PF 등 잠재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는데 방향과 효과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